퀀트 투자란?
퀀트 투자는 Quantitative(계량적) 분석을 통해 투자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퀀트 투자의 시초는 해리 마코위츠(Harry Markowitz)가 1952년에 발표한 포트폴리오 이론 논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자산들간의 상관관계 및 분산등을 통해 최적 포트폴리오를 추출해 내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당시 주로 경험이나 추세에 의존하여 운용되었던 자산 관리 방식과 큰 차이를 보여줬습니다. 이 이론을 시작으로 샤프 지수를 개발한 윌리엄 샤프와 잭 트레이너 등이 영향을 받아 주식 시장에서 리스크와 수익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연구를 이어갔습니다.
퀀트 투자는 테이터와 PC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이론이 실증화 단계를 거치며 발전해 나갔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퀀트 투자 전략들이 생겨나고 기존 전략들을 개선하는 방식을 통해 자산 배분 방식 중 중요한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퀀트 투자의 장점과 단점
퀀트 투자의 장점에는 데이터를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으로 인간의 오류와 감정 개입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전략과 자산군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뿐 아니라 채권이나 실물자산(골드)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도 분명히 존재 합니다. 퀀트 투자는 모델과 알고리즘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 전략가설이 잘 못 된 경우 큰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게 되거나 오류 데이터가 섞여 있을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에게 맞는 퀀트 전략을 찾는데는 데이터를 분석할 시간과 노력, 비용 등이 필요하게 됩니다.
퀀트 투자를 진행하는 방법
먼저 분석할 자산의 데이터와 재무 데이터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하여 자산에 대한 필요 지표들을 뽑아 냅니다.
2023.03.07 - [분류 전체보기] - 주식 투자 관련 지표 및 용어
주식 투자 관련 지표 및 용어
투자 관련 지표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 비율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 나타내는 지표로 낮을수록 저평가 상태로 투자에 유리함. 산출식 : 주가 / 주당순이익(EPS) EPS(Earning Per Share
decisive.tistory.com
지표들을 기준으로 과거 데이터에 적용해 보며 성과와 위험률을 평가해 봅니다. 이 단계를 백테스팅이라고 하는데 백테스트 과정은 퀀트 투자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백테스트 과정을 통해 전략을 최적화(변수 조정)하여 성과와 리스크 간의 균형을 찾아냅니다. 이 최적화된 전략을 실제 자산군에 적용하여 매매를 진행합니다.
퀀트 투자가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이라고 말하긴 그렇지만 투자 방법 중 하나인만큼 한번 공부해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퀀트 투자는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투자 방법에 어울리는 방식입니다. 인간의 심리와 욕심을 줄이고 오로지 데이터에 의존한 투자인 만큼 인내심이 필요한 투자이기 때문입니다.
퀀트 투자 관련 서적
서울대 문병로 교수의 '메트릭 스튜디오'
강환국 '거인의 포트폴리오', '할수 있다 퀀트 투자', '하면 된다 퀀트 투자'